미 대선에서 승리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7일 윤석열 대통령과 첫 통화에서 조선업을 콕 짚어 한국의 협조를 요청한 건 중국의 ‘해양굴기’를 염두에 둔 포석으로 풀이된다. 한국을 미 인도태평양 전략의 ‘전초기지’로 삼아 대중국 견제를 본격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군 내부에선 조선업이 한·미 군사동맹의 새로운 핵심 고리로 떠올랐다는 얘기도 나온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윤 대통령과 통화에서 "미국의 조선업이 한국의 도움과 협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세계적 건조 군함과 선박의 건조 능력을 잘 알고 있으며, 선박 수출 뿐 아니라 보수·수리·정비 분야에서도 긴밀하게 한국과 협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구체적 논의가 이뤄지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하나에 꽂히면 그것만 본다’는 평가를 듣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른 산업 부문을 제쳐놓고 조선업을 특정한 건 미국의 위기의식이 반영된 것일 수 있다. 미·중 간 대결의 무대인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해군력에 미국이 밀리는 지경까지 간 상황이기 때문이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지난 6월 공개한 ‘초국가적 위협 프로젝트’ 보고서에서 중국이 운영하는 전함이 234척으로 미 해군의 219척(군수·지원 함정은 제외한 숫자)보다 많다고 평가했다. 그리고는 “일본, 한국 같은 동맹이 중국의 수적 우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도 조언했다. 이미 미 해군력이 수적으로 중국에 열세에 놓이면서 한·미가 해양·조선 분야에 협력 공간을 넓힐 명분은 마련된 셈이다.
대통령실이 통화 내용 중 조선업 관련 부분을 공개한 것도 주목할 부분이...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0389?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