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로 물가 관리에 비상이 걸린 미국의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는 금리를 낮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집을 살 때 빌리는 돈에 붙는 이자율인 '모기지' 금리가 여전히 높아 주택 시장 성수기인 4월에 주택 판매가 전월보다 0.5% 감소했습니다.
뉴욕지국을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승윤 특파원, 0.5% 감소는 2009년 이후 역대 4월 중에 최저치라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모기지' 금리 상승과 주택 가격 인상으로 미국 주택 시장에서 전통적으로 가장 구매가 활발한 시기인 4월에 기존 주택 판매가 감소했습니다.
미국의 기존 주택 판매는 3월보다 0.5% 줄었고 1년 전보다는 2% 감소한 연간 환산 400만 채를 기록해 예상치 410만 채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한 달 전보다 주택 판매가 0.5% 줄어든 것은 2009년 이후 역대 4월 판매 증감률 중 최저입니다.
미국의 전국 주택 가격 중간값은 1년 전보다 1.8% 상승한 41만4천 달러로 22개월 연속 전년 대비 상승했지만, 상승률은 둔화했습니다.
전미 부동산 중개인 협회는 "30년 만기 모기지 평균 금리가 7%로 매우 높아 주택 시장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말 기준 미국 내 주택 재고는 145만 채로, 3월보다 9% 증가했고 1년 전보다 20.8% 늘었지만, 미국인들은 구매를 주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트럼프의 관세로 3분기부터 물가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연준은 물가 관리에 집중하고 있어 앞으로도 금리를 낮추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전문가의 얘기를 들어보시죠.
[조지 시폴로니 / 펜 뮤추얼 자산 관리 매니저 : 올해 금리 인하를 4~5번에서 2~3번으로 조정했고, 빨라야 9월일 듯한데 당장 연준이 금리를 내리진 않을 것 같네요.]
관세가 상당수 유예되다 보니 아직 미국 경제 지표는 탄탄한 것으로 나왔죠? 뉴욕 증시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뉴욕 증시는 보합권 내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지수는 1.35포인트, 0.00% 대형주 중심의 S&P 500지수는 2.6포인트, 0.04% 하락했습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3.09포인트, 0.28% 상승했습니다.
S&P 글로벌이 발표한 5월 제조업 구매 관리자 지수, PMI 예비치는 52.3으로 시장 예상치인 50.1은 물론, 지난달 50.2를 넘어섰습니다.
관세에 대비한 신규 ... (중략)
YTN 이승윤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523053131298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