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전 대구 북구 팔달동 팔달초등학교 강당. 전날 급하게 설치된 소형 텐트가 강당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강당 안팎에는 산불을 피해 대피한 인근 주민들이 근심스러운 표정으로 서성이거나 앉아 있었다. 산불 임시 대피소가 마련된 팔달초 강당에는 주민 250여 명이 머무르고 있다.
김재정(71·북구 조야동)씨는 “어제(28일) 낮에 집에 있는데 갑자기 가까운 산에서 연기가 엄청나게 많이 났다. 산불이 금방 꺼질 줄 알고 집에서 쉬고 있는데 공무원들이 문을 두드리며 대피하라고 해 몸만 빠져나왔다”며 “밤새 바깥에서 바람이 강하게 부는 소리가 들리는데 그럴 때마다 집이 불에 타버릴 것 같은 근심에 잠을 설쳤다”고 전했다.
━
산불 피해 몸만 빠져나온 주민들
김씨는 다급하게 대피하느라 옷 하나 챙기지 못하고 휴대전화 하나만 들고 대피소에 왔다. 그는 “산에 있는 조야동 김해김씨 문중 재실이 불에 탔을까 봐 걱정된다”고 했다.
앞서 대구시는 산불이 발생하자 노곡동·조야동·서변동 등 지역 주민 3514세대 6500여 명에게 대피를 안내해 인근 초·중학교에 마련한 7개 대피소에 661명을 수용했다. 나머지 주민은 친·인척 집으로 대피했다.
산불 현장과 가까운 대구 북구 노곡동은 아침 일찍부터 주민들이 골목을 서성이고 있었다. 하늘에서는 쉴 새 없이 산불 진화 헬기가 날아다니고, 헬기가 만들어내는 굉음도 끊이지 않았다. 전날에 마을을 뒤덮었던 연기는 많이 걷혔지만, 여전히 탄내가 곳곳에서 느껴졌다.
이 마을에 사는 김순희(87)씨는 “전날 대구 달서구에 있는 친척 집으로 대피했다가 해가 뜨...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245?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