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성문규 앵커, 박민설 앵커
■ 전화연결 : 함은구 을지대 안정공학전공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IGH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전해 드린 것처럼 대구 북구 함지산에 난 산불이 번지면서 민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소방청이 '국가 소방동원령'을 발령하며 야간 진화 작업에 나섰다는 소식 계속해서 전해 드리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이용재 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와 함께 이번 산불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교수님, 연결돼 있죠? 안녕하세요.
[이용재]
안녕하세요.
산불이 오후 2시에 났으니까 이제 한 9시간 가까이 지나고 있는데요. 오후 8시 기준으로 진화율이 19%라고 전해지고 있거든요. 진화율 어떻게 보시나요?
[이용재]
마음 같아서는 너무 안타깝죠, 진화율이 낮아서. 그 이유는 아무래도 우리나라 산림이 여기뿐만 아니라 과거에도 그랬지만 산림이 너무 울창해져 있고 또 봄철에 굉장히 건조한 날씨고요. 얼마 전에 약간의 비가 있기는 있었지만 오랜 시간 가문 상태에서 비가 조금 왔지만 그것이 날씨가 온도가 올라가고 이러다 보니까 수증기가 다 날아가서 상당히 건조한 상태라는 부분이고요. 또 하나는 국지적으로는 전반적으로는 그나마 그래도 바람이 초속 1m 이하로 낮은 정도이지만 국지적으로 돌풍도 불고 이런 부분들이 산불로 크게 키우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판단됩니다.
지난 주말에는 강원도 인제에서도 산불이 나서 걱정이었는데요. 규모 비교하면 지금 어떻습니까?
[이용재]
규모는 여기가 좀 더 큰 것 같고요. 규모가 문제가 아니라 대구 함지산 산불 같은 경우는 산을 주변으로 해서 거의 사방에 주거지역이나 공단, 학교 이런 것들이 굉장히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서 면적이 크고 작고를 떠나서 인명피해 부분, 대피 부분 이런 부분에 있어서 가장 우려가 되고 걱정되는 그런 화재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지금 말씀하신 대로 주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난 산불이라 특히나 도심형 산불 이렇게 지금 전해 드리고 있는데. 오늘 밤에 가장 중요한 건 방화선 구축 같은데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할까요?
[이용재]
그렇습니다. 이게 도심형 산불이라고 일반적으...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428222906086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