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오후 경기도" />
지난 10일 오후 경기도"/>
“특수봉인지로 밀봉하겠습니다.”
지난 10일 오후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4층 회의실. ‘제21대 대선 투ㆍ개표 절차 시연회’가 열렸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부정선거 의혹을 차단하려 마련한 행사다. 투표관리관 역할을 맡은 선관위 직원이 투표가 끝나자 투표함 위에 ‘특수봉인지’를 단단히 붙여뒀다. 이후 이 직원과 2명의 참관인은 투표용지 투입구가 밀봉된 걸 확인한 뒤 봉인지 위에 서명했다. 이날 시연을 위해 봉인지를 손으로 잡아 떼보니 보이지 않았던 ‘OPEN VOID’란 훼손 표시가 바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정 선거론자들은 훼손 표시는 무시하고 투표함에 봉인지를 뜯은 흔적이 남지 않는 것을 문제 삼는다. 그러면서 “누군가 가짜 투표지를 집어넣은 뒤 새 봉인지를 붙여도 알 수 없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이에 대해 선관위 관계자는 “투표함을 옮길 땐 각 후보자와 정당이 추천한 참관인 외에 경찰까지 따라붙는다”며 “또 개표소 곳곳에 CCTV가 운용돼 가짜 투표지 투입이나 투표함 바꿔치기는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만일 실제 개표장으로 훼손 표시가 된 투표함이 옮겨지면, 접수부에서 즉시 경위 파악에 나서게 된다.
음모론자들은 아예 ‘CCTV 조작설’까지 나아간다. 지난 4ㆍ2 재보궐 선거 당시 부산시교육감 선거 관내사전투표함 보관장소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CCTV 화면 속 시간과 실제 시간이 수 시간 가량 차이 난다면서다. 선관위 확인 결과, CCTV 영상을 외부로 송출하던 PC 4대 중 한 대에 오류가 발생하면서 일어난 해프닝이었다. 원본 영상은 끊김 없이 저장된 상태였다. 선관위 관계자는 “부정 선거는 007 같은 첩보영화에서나 가능하다”고 했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477?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