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란히 정치·경제적 위기에 몰린 ‘글로벌 수퍼파워’ 미국과 중국 정상이 15일(현지시간) 1년만에 만나 손을 잡았다. 세계 패권을 놓고 경쟁해 온 두 정상은 오랜만에 서로를 치켜세우며 웃었지만, 4시간에 걸친 회담 내내 두 사람 간 기싸움의 분위기가 묻어나왔다.
표면적으로 먼저 고개를 숙인 듯한 모습을 보인 쪽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이라는 명분이 있지만, 중국 역사상 최초로 3연임에 성공한 시 주석이 미국을 찾아간 것 자체가 자존심을 구긴 측면이 있다. 시 주석은 2017년 4월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했을 때도 방미에 앞서 급하지 않았던 핀란드 방문 일정을 배치했는데, 외교가에선 방미를 전체 순방의 일부분으로 만들어 자존심을 지키려 한 것이란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6년 7개월만에 ‘적진’에 다시 걸어 들어간 시 주석은 이번에도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시 주석은 방미에 앞서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여부를 결정할 스윙스테이트(경합지)에서 주로 생산되는 콩 300만톤을 구입하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회담 당일엔 예정보다 30분 늦은 오전 11시 15분에서야 회담 장소 ‘파일롤리 에스테이트’에 나타났다. 시 주석의 지각 때문에 10시 50분께 현장에 도착한 바이든 대통령은 30분 가까이 기다려야 했다.
시 주석은 바이든 대통령이 자신의 의전차량 훙치(紅旗) N701을 살펴보는 장면도 정치적으로 활용했다. 16일 중국의 중앙TV(CCTV)는 바이든 대통령이 주차된 시 주석의 의전차량을 살펴보며 “이 차 정말 멋지다”라고 말하자 시 주석이 “이것은 나의 홍치다....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7852?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