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3일부터 ‘윤석열 정권 퇴진’을 내걸고 2주간의 총파업에 들어간다. 정부도 불법 행위에 대한 엄단 방침을 예고하면서 냉각된 노정 갈등 분위기가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재계에선 ‘불법 정치파업’이라는 반발이 나왔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본격적인 총파업 돌입을 선언했다. 양 위원장은 “윤석열 정권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우리의 삶을 지키기 위한 총파업”이라며 “어느 때보다 많은 노동자들이 유례 없이 강력한 총파업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의 구체적인 투쟁 의제는 ▶노조탄압 중단 및 노조법 2·3조 개정 ▶최저임금 인상 ▶과로사 노동시간 폐기 및 중대재해처벌 강화 ▶집회·시위 자유 보장 ▶공공요금 인상 철회 ▶일본 핵오염수 해양투기 중단 등이다.
━
특고 노동자 시작으로 금속·보건의료노조까지 확대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택배기사, 가전제품 수리기사 등 서비스연맹 특수고용직(특고) 노동자들의 파업 대회를 시작으로 오는 15일까지 전국 곳곳에서 산별노조의 순회 파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민주노총은 이번 총파업에 전체 조합원 120만명 가운데 40만명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오는 5일부턴 전국 지역별로 동시다발 지역별 결의대회와 행진을 진행하고, 12일엔 민주노총 최대 산별노조인 금속노조가, 13일엔 보건의료노조가 총력 투쟁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금속노조 파업엔 현대차 노조도 2...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74466?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