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생산된 전기를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게 허용하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제정된 뒤 한발 앞서 혜택을 받기 위한 지자체들의 발걸음이 분주한데요.
특히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며 민관이 합심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KCTV 제주방송 김용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태양광 전력으로 전기차가 달리고 지역 내에서 생산된 전력을 제주에서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시장이 앞으로 열립니다.
최근 제정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주요 내용 중 하나가 특화지역 지정인데 특화지역 내에서는 민간에서 생산한 전력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거래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지만 초과 발전과 출력 제어가 늘어나는 과도기를 맞고 있는 제주도가 전국 제1호 특화지역 지정을 준비하는 이유입니다.
특별법 제정 이후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제주에서 처음으로 마련됐습니다.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어느 지역보다 앞선 정책으로 대한민국의 분산에너지 선도 모델을 구축해나가고 있는 지자체는 바로 이곳 제주입니다. 제주가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에 가장 유력하고 가시적인 분산에너지 정책을 실현할 최적지임을 자신하고 있습니다.]
해외 사례를 비롯해 대규모 에너지 저장장치 기술과 조만간 도입될 실시간 전력 요금과 입찰제 등이 주요하게 소개됐습니다.
[정동희 / 전력거래소 이사장 : 예비전력을 제공하는 발전 사업자에게 정당한 보상이 되도록 하여 충분한 예비력을 확보하고 제주도의 전력 수급 안정성을 보다 튼튼히 하고자 합니다.]
분산에너지 특별법을 만든 국회에서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가장 높은 제주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최적지로 꼽았습니다.
[김성환 / 국회의원(특별법 대표 발의) : 제주자치도에 특별하게 맞춰진 법률이라 사실상 기후 위기 시대에 탈탄소의 새로운 문명을 이끄는 제주도가 되기 위한 터닝 포인트로 삼고 제대로 준비하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참여 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 출력 제한 대책과 분산에너지 특구와 관련한 산업들이 실증에 그치지 않고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와 제주도에 제도 개선을 건의했습니다.
제주도는 2035년 풍력과 태양광, 그린수소로 전력 100%를 생산하는 에너지 자립섬과 탄소 중립 실현... (중략)
YTN 김용원 kctv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30624091016405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