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일 첨단산업 클러스터 육성 방안에 대해 “공정한 보상체계를 잘 법제화하고 불합리한 규제는 과감히 풀어 마켓(시장)에 활력을 주는 정책적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강서구 ‘창업허브M+(마곡 바이오클러스터)’에서 제5차 수출전략회의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재정을 가지고 잘 골라서 선도적인 투자를 함으로써 민간의 관심과 투자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전략회의’라는 부제가 붙은 이날 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 육성을 강조했다. 보스턴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연구소, 매사추세츠공대(MIT)·하버드대 등 주요 대학과 벤처기업이 몰려 있는 바이오 분야 대표 클러스터다. 이를 벤치 마킹해 한국형 보스턴 클러스터를 국내에 조성하겠다는 게 윤 대통령의 구상이다.
윤 대통령은 먼저 첨단산업 육성의 중요성에 대해 “국가 안보와 첨단산업은 바로 직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4월 국빈 방미 당시 방문했던 보스턴 클러스터를 언급하며 “MIT라는 기반만으로 된 것이 아니고, 공정한 시장 질서와 보상 체계가 자리를 잡으면서 공학·의학·법률·금융 분야 최고 인재들이 모이도록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구소, 대학, 투자기관을 공간적으로 집합 배치하는 수준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연결하면서 기술 개발과 가치 창출을 이뤄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국빈 방미 당시 미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다르파)을 방문한 것도 언급하며 “보스턴 클러스터가 구체적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6998?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