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동안 많게는 수억 원의 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맡기고 집을 빌리는 전세는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선 찾아보기 힘든 제도입니다.
월세로만 임대 계약이 이뤄지는 미국은 어떻게 다른지 현지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최기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미국 부동산 중개인에게 전세 제도에 대해 물었습니다.
미국에서는 없는 것이라며 개인 간에 큰돈을 맡기고 계약하는 일이 낯설다고 답합니다.
[제이슨 포코비츠 / 미국 부동산 중개인 : 이전에는 몰랐습니다. 최근에 알게 됐습니다. 미국에 이런 제도를 도입하려고 할 때 가장 먼저 극복해야 하는 건 신뢰 문제입니다. 모르는 사람에게 큰돈을 건네는 것은 대부분 미국인에게 매우 어려운 개념입니다.]
미국의 임대는 보통 보증금으로 한 달 월세를 내는 만큼 기간이나 금액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계약을 맺을 수 있는 게 장점입니다.
[에릭 민 / 미국 부동산 중개인 : 적은 디포짓(보증금)으로 집에 살 수 있다는 거고, 그다음에 이제 계약 기간이 6개월~1년 계약할 수도 있고…. ]
하지만 단점도 분명합니다.
LA의 평균 월 임대료가 390만 원 정도로 한국의 월세와 비교해 비싼 편입니다.
여기에 임대료가 계속 올라 세입자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 구조입니다.
그러다 보니 여러 명이 함께 사는 게 흔한 일입니다.
[티파니 황 / 미국 부동산 중개인 : 방 하나짜리 아파트에서 두 명이 산다거나, 방 두 개짜리 아파트에서 세 명이 산다거나 뭐 이런 식으로….]
월 소득의 30% 정도만 임대료로 내는 게 이상적이지만 실상은 다르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제이 장 / 미국 남가주 한인부동산협회장 : 거의 뭐 (소득의) 50% 넘는 경우도 많고…. 교과서적인 답변은 30%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지가 못하고 훨씬 더 렌트비에 대한 부담이 많은 게 현실입니다.]
아파트 70가구를 가진 임대사업자는 미국이 한국보다 세입자 보호 조치가 엄격하다고 말합니다.
[이진백 / 미국 LA 부동산 임대사업자 : 임차 계약이나 퇴거 소송에 있어서도 (세입자를) 많이 보호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정이) 어렵다는 게 판단이 되면 쉽게 내쫓지 못하는 부분이 있고요.]
임대 방식이 다른 이유는 부동산을 바라보는 시각 차이 때문입니다.
미국은 소득 기반으로 임대료를 내면서 집에 거주하는 문화이지만, 한국은 부동산을 자산으로 인식합... (중략)
YTN 최기성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327052446916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