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 문화의 상징으로 반세기 동안 세계 패션계를 호령한 영국 디자이너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29일 향년 81세로 별세했습니다.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이날 런던 남부에 있는 자택에서 가족들에게 둘러싸인 채 평화롭게 숨을 거뒀다고 고인 측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밝혔습니다.
그는 생전에 '펑크의 여성 제사장', '극단의 여왕'으로 언론에 묘사됐으며, 마지막까지 패션 산업의 경계를 허물며 활력을 불어넣어 사랑을 받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1941년 4월 8일 영국 더비셔주 글로솝에서 태어난 '비비안 이사벨 스와이어'는 면직공장과 제화공장에서 일한 부모의 영향을 받아 어린 시절부터 자기 옷을 만들었습니다.
10대 때 부모와 함께 런던으로 이주해 예술학교에 다니며 보석 제작과 은세공을 배웠고, 성인이 돼서는 한동안 교사로 일하며 첫 번째 남편 데릭 웨스트우드를 만나 직접 만든 드레스를 입고 결혼했습니다.
아들 하나를 두고 이혼한 웨스트우드는 런던 포토벨로에서 보석류를 팔아 생계를 이었습니다.
그러다 1965년 후일 펑크록 밴드 '섹스 피스톨즈'의 매니저가 되는 미술학도 맬컴 맥라렌을 만나 사랑에 빠지면서 웨스트우드는 인생의 전환점을 맞게 됩니다.
1970년대 웨스트우드와 맥라렌은 런던 킹스로드에 '렛 잇 록'(Let It Rock)이란 이름의 매장을 열고 주류 문화에 대한 반항과 전복적인 메시지를 담은 패션을 선보여 파란을 일으켰습니다.
부분 부분 찢어지거나 금속체인, 지퍼, 닭 뼈 따위가 달린 옷을 선보였고, 특히 영국 여왕의 입술에 큰 옷핀이 달린 이미지가 프린트된 티셔츠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웨스트우드는 당대를 풍미한 펑크 문화의 시각적인 문법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는 전기에서 "나와 맬컴 이전에는 펑크가 없었다"며 "펑크에 대해 또 하나 알아야 할 것은 그것이 '완전한 폭발'이었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2014년에는 "내가 패션계에 있는 유일한 이유는 '순응'이란 단어를 파괴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런 요소가 없다면 나에게 전혀 흥미롭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웨스트우드는 사회·정치적인 의견을 거침없이 밝혔고, 이를 행동으로 실천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핵 군축과 반전을 옹호했으며, 가난한 이들에게 타격을 주는 정책에 반기를 들었습니다.
패션쇼에 서는 모델들에게 이런 메시지를 담은 팻말을 ... (중략)
YTN 임수근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21230140818164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