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16강 진출이 결정되는 순간, 영하의 광화문 광장에는 우레와 같은 함성소리가 터졌다. 후반 45분, 황희찬의 역전골이 나오자 자리에 돗자리를 깔고 앉아있던 관객들은 일제히 일어나 옆사람을 얼싸안고 방방 뛰었다. 여자친구를 번쩍 안아올리고 뛰는 남성, 눈물을 보이는 남학생도 눈에 띄었다. 사상 첫 영하의 월드컵이었지만 16강 진출로 시민들은 추위조차 잊었다.
━
‘혹시나’ 했던 전반…황희찬 역전골에 환호성 터졌다
포르투갈과의 일전이 시작된 3일 오전 0시, 서울 광화문광장에는 1만 2000여명(경찰 추산)의 시민들로 가득 찼다. 이 시각 서울 광화문의 수은주는 영하 1도, 체감 온도는 영하 3도를 밑돌았지만 시민들은 “반드시 16강에 진출할 것”이라는 믿음과 응원 열기로 추위를 녹였다.
전반 5분 만에 포르투갈에게 실점한 후 광장을 뒤덮었던 탄식 소리는 전반 27분 김영권이 동점 골을 넣자 즐거운 비명으로 바뀌었다. 일어나 있던 시민들은 벌떡 일어나 서로 얼싸안고 빙글빙글 돌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하프타임 동안 직장인 김주원(28)씨는 “동점골이 터졌을 때 심장이 멎는 줄 알았다. 도파민이 솟구치는 게 느껴졌다”며 “16강 갈 것 같다. 안 가도 좋은 추억으로 남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시민들은 대한민국의 16강행을 좌우하는 가나와 우루과이의 경기를 스마트폰으로 틀고 분석에 나섰다. 종로구 거주김승태(28)씨도 전반에 우루과이가 가나를 2-0으로 앞선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스마트폰으로 가나 대 우루과이전을 켰다. 이씨는 “우루과이가 이기고 있기 때문에 (포르투갈이) 열심히 안할 것 같다. 핵심 선수 몇 명을 뺀 것 같은데 우리나라가 잘하면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2789?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