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7, 개도국 기후재앙 기금 조성 극적 타결
파키스탄과 카리브 해 등 섬나라들 앞장서 촉구
피해보상 열렸지만 기금 규모·보상 범위 등 미정
석유·천연가스 사용 감축은 합의에서 빠져
기후재앙으로 고통받는 개발도상국에 피해보상을 해주는 기금 조성이 극적으로 타결됐습니다.
하지만 어떤 피해를 언제부터 보상할지 누가 어떻게 부담할지 정해지지 않아 향후 뜨거운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해를 거듭할수록 혹독해지는 개발도상국의 기후 재앙을 보상해주는 길이 열렸습니다.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는 마라톤협상 끝에 피해보상 기금 조성을 최종 채택됐습니다.
[사메 수크리 / COP27 의장 : 우리는 하나의 공동목표를 위해 단결했고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리고 결국 달성했습니다.]
올해 처음 정식 의제에 오른 보상 문제는 대홍수를 겪은 파키스탄과 해수면 상승으로 국토가 잠기기 시작한 섬나라들이 앞장섰습니다.
[셰리 레흐만 / 파키스탄 기후 장관 : 우리는 이 자리에서 30년 동안 고군분투했고 첫 번째 긍정적인 이정표를 달성했습니다.]
가까스로 피해보상의 길은 열렸지만 기금 규모와 보상 범위 등 구체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또 석탄뿐 아니라 석유와 천연가스 등 모든 종류의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자는 제안이 나왔지만 당사국 모두의 동의를 얻는 데 실패했습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 유엔 사무총장 : 우리 지구는 아직 응급실에 있습니다. 당장 온실가스 배출을 과감하게 줄여야 하는데 이번 총회에서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지난 6월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취약한 55개 국가는 최근 20년간 발생한 기후재앙으로 약 705조 원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기후 활동가들은 수백 년간 화석연료를 사용해온 선진국들이 보상금을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연합 등은 받아들이지 않았고 온실가스 배출 비중과 경제 규모가 큰 중국도 보상금을 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프란스 티메르만스 / EU 집행위 부위원장 : 이번 총회에서 우리 모두 손실과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부족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훨씬 더 많은 일을 했어야 했습니다.]
개도국을 위한 기후재앙 보상금은 극적으로 타결됐지만, 그 돈을 어떻게 마련하고 사용할지는 앞으로 뜨거운 논... (중략)
YTN 김선희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21120222109035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