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이 이어지면서 대피시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울산에는 현재 500곳에 가까운 민방위 주민 대피시설이 있지만, 현장을 직접 살펴보니 방사능이나 원전사고까지 피할 수 있는 방호시설을 갖춘 대피소는 없었습니다.
JCN 울산중앙방송 김나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북한이 울산 앞바다에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지역사회 전체가 불안에 떨었습니다.
사실은 아니었지만, 울산 앞바다를 특정했다는 것.
원전과 석유화학단지가 밀집돼있는 울산은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란 걸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쟁이 날 경우 시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민방위 주민 대피시설은 484개소.
찾아가 보니 대피소란 안내판이 붙어져 있습니다.
공습경보가 발령될 시 대피소로 쓰일 이곳은 특별한 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 일반 지하 주차장이었습니다.
[기자]
대부분의 대피소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으로 방호시설이 되어있지는 않습니다.
특히 큰 화학 사고나, 원전사고, 미사일 폭격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방사능까지 막을 수 있는 방호시설이 있어야 하는데 울산에는 이러한 시설이 단 한 군데도 갖춰져 있지 않습니다.
[박재완 / 울산시청 안전총괄과 : 대규모 건물을 지을 때 일정 이상 규모가 되면 화생방에 대한 대비할 수 있는 시설이 있도록 의무로 해야지 한두 개 가지고 될 문제가 아니라서…나중에 되면 (행정안전부에) 건의도 하고 해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정부지원 대피시설 등은 막대한 예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국비 지원이 필요한 상황.
울산시민들이 안전 사각지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jcn 뉴스 김나래입니다.
YTN 김나래jcn ([email protected])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21120063600830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