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의 성공은 국가 우주력의 완성이 아니라 시발점이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시스템공학부 교수는 21일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 발사 성공의 의미를 이렇게 표현했다. 한국이 1t 이상의 인공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린 세계 7번째 국가가 됐지만 이제 시작일 뿐, 가야 할 길이 멀다는 얘기다.
실제로 누리호 성공은 소련의 R-7 로켓이 1957년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지구궤도에 올려놓은 지 65년 만에 이뤄낸 성과다. 이후 미국이 58년, 프랑스는 65년 첫 우주로켓을 쏘아 올렸다. 중국과 일본은 70년, 인도도 80년에 우주발사체를 자력으로 개발했다.
이 때문에 “우주 강국들이 60여 년 전에 쏜 우주로켓을 이제 개발하는 게 무슨 소용이 있나”는 일부의 비판이 있었다. 그런데도, 우주가 산업의 영역으로 접어드는 시대에 우주발사체는 늦더라도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는 게 한국 정부와 과학기술계의 입장이다.
관련기사누리호 발사 성공, 우리 힘으로 우주 열었다한국 우주발사체 개발, 옛 소련권 국가들 도움 컸다로이터 “한국, 우주 프로그램 큰 발걸음 내디뎠다”누리호 솟구치자 곳곳 함성, 태극기 흔들며 만세 부르기도 권현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누리호 개발에는 300여 국내 기업이 참여했는데, 이번을 계기로 우주산업 생태계가 성장할 발판이 만들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황진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고유의 우주발사체를 갖고 있다는 것은 우주에 대한 독자적인 접근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이 기존 우주 강국들을 추격해 경쟁력을 갖추기까...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0936?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