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반도체 인력 양성을 '미래 안보'라고까지 강조하면서 교육계가 술렁이고 있습니다.
특명을 받은 교육부는 당장 대학 반도체 학과 정원을 대폭 증원하려고 나섰는데, 지방대학들은 수도권 대학 쏠림이 가속화 할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반도체 업계가 필요한 한해 인력은 3천 명 하지만 관련 학과 졸업자는 한해 650명 선입니다.
반도체 전문 인력을 늘리기 위해서는 여러 방안이 검토되지만,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정원 상한선 안에서 증원하는 방안이 유력합니다.
지방대학에도 반도체 등 첨단학과를 늘릴 계획입니다.
또, 기업이 다양한 수준의 반도체 인력을 필요로 하는 만큼, 대학 외에 마이스터고 정원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고등교육의 목적을 사실상 미래 산업인력 양성으로 보고 교육 개혁을 밀어붙이는 겁니다.
변화의 소용돌이에 올라타게 된 지방대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합니다.
지방대는 수도권 대학 정원이 8천 명 늘면 그만큼 학생들이 지방에 덜 올까 봐 노심초삽니다.
하지만 정부는 필요한 인력을 계산해 수도권과 지방의 반도체 학과 정원을 반반씩 늘리고 지방대에 재정 지원을 더 많이 해 경쟁력을 갖춰주면 모두가 '윈-윈'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지방대가 가장 어려움을 겪는 교원 확보 규제도 풀고, 대학 평가 축소 등 개선과 학사 규제 완화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모두 지방대의 숙원 사업들입니다.
특히 학사 규제가 완화되면 마이크로 학위과정 신설, 강의와 인턴십 또는 지방과 수도권 대학 캠퍼스 공유, 학과 간 융복합 과정 확대로 지방대 경쟁력을 높이고 인재 양성 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수도권 집중 완화 정책 없이 지방대 반도체 학과가 제대로 운영될지는 미지수란 지적도 나옵니다.
[최병욱 / 한밭대 총장 : (지방대 지원을) 우는 놈 떡 하나 주는 이런 방식으로는 저는 절대로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 각종 혜택을 줘서라도 지역에도 번듯한 기업들이 존재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또,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일부를 고등교육으로 넘기는 건 시도교육청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고, 특별법 제정은 국회 문턱 넘기가 쉽지 않습니다.
재정 지원이 지방 거점대에 집중될 거란 대다수 지방대의 우려도 불식해야 합니다.
YTN 김현아입니다.
※ '당신의... (중략)
YTN 김현아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612054234371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