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尹 회동 정치 쟁점화…최장 기록 넘어설 듯
정권 교체기 권력 대립 장기화는 양쪽 모두 부담
尹, 朴 먼저 만나면 정국 급랭 책임론 나올 수도
이철희·장제원 말 아껴…실무 협상 진전 가능성
文·尹 회동, 다음 주 성사 전망에 무게 실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의 만남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역대 최장 기록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 회동이 지연되는 데 따른 정치적 부담이 양쪽 모두에 가중되고 있어 늦어도 다음 주엔 회동이 성사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립니다.
조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덕담과 함께 평화로운 정권 이양을 약속하기도 전에,
[박수현 /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지난 24일) : (문 대통령은) 다른 이들의 말을 듣지 마시고 당선인께서 직접 판단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 당선인 (지난 24일) : 법률적인 권한이, 소유권이 매도인에게 있더라도 집을 고치거나 이런 건 잘 안 하잖습니까.]
날 선 공방이 오가며,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의 청와대 회동은 정치 쟁점으로 비화했습니다.
1992년, 노태우 당시 대통령과 김영삼 당시 당선인이 대선 후 18일 만에 만난 최장 기록도 넘어설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하지만 차일피일 회동이 늦어질수록 양쪽 모두 유례없는 정권 교체기 신구 권력 대립이란 정치적 부담을 져야 하는 형국입니다.
[신성범 / 전 새누리당 의원 (YTN 출연) : 협치를 통한 통합의 길로 나가라는 게 국민의 공통된 요구라면 두 정치 지도자, 문재인 대통령이나 윤석열 당선인 모두 이 국민의 요구로부터는 자유로울 수 없다고 봅니다.]
일단, 문 대통령은 서훈 국가안보실장을 보내 북한의 미사일 도발 상황을 윤 당선인에게 상세히 전하고,
참모들에게도 향후 긴밀한 소통을 주문했습니다.
또, 회동 걸림돌인 감사위원 임명 문제에선 감사원이 현 정부와 새 정부 협의가 필요하다고, 사실상 윤 당선인 손을 들어줬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 지명으로 촉발된 인사 파열음이 감사위원 임명 강행이란 파국으로 치닫진 않을 거란 분석이 더해지는 대목입니다.
대구로 내려간 박근혜 전 대통령을 조속히 찾아뵙겠다고 한 윤 당선인 역시,
현직 대통령과 회동이란 관례를 깨고, 전직 대통령을 먼저 만나는 데 따른 정국 급랭의 책임론이 따라붙을 수 있습니다.
양측 채널인 ... (중략)
YTN 조성호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20326215818531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