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préndeme!

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 (2월 21일) / YTN

2022-02-21 0 Dailymotion

[정은경 / 질병관리청장]
중환자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은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상승하였지만 전국 27.3%로 관리 중에 있습니다. 의료대응 역량 대비 발생은 오미크론의 우세화에 따른 확진자 수 증가로 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발생지표에 관한입니다. 2월 3주에는 하루 평균 확진자 수가 8만 410명으로 전주 대비 1.7배가 증가하였습니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2주 연속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다음은 주간 발생 현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되면서 유행이 본격화된 이후에 주간 단위의 발생 상황을 분석해 보면 확진자 수는 급속하게 증가하여 1월 3주에 비해서 2월 3주, 4주간에 14.7배가 증가하였습니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의 낮은 중증도와 또 높은 3차 접종률로 위중증 확진자는 1.63배가 증가하였고 사망자는 1.25배가 증가해서 지난 델타 유행 상황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주간 단위의 중증화율, 치명률은 델타 변이 유행이 진행되었던 11월, 12월에 비해 가장 최근에 분석한 1월 4주의 중증화율은 0.29%, 그리고 치명률은 0.15%로 낮아진 상황입니다.

또한 2021년 12월 이후에 델타형 또는 오미크론형 변이가 확정된 사례 6만 7000여 명을 대상으로 중증도를 비교, 평가한 결과 오미크론 변이의 연령 표준화 중증화율은 델타에 비해서 4분의 1, 치명률도 0.18%로 4분의 1로 낮았습니다.

다만 6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델타 변이에 비해서 오미크론 변이의 중증화율, 치명률이 낮아졌지만 60대는 중증화율이 4.2%, 치명률은 0.17%였으며 80대는 중증화율이 7.7%, 그리고 치명률이 4.9%로 여전히 70대 이상의 고령층에는 위중증률 그리고 치명률이 높은 상황입니다.

60대 이상 고령층에서는 신속하게 예방접종을 받아주시고 또 조기에 검사를 받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60대 이하 연령군에서는 오미크론 변이에 의한 중증화율은 0.03 내지 0.08%로 매우 낮았으며, 치명률은 0.03% 이하로 분석이 되었습니다.

다음은 주간 위험 요인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는 유행의 급증 확산입니다. 2월 3주에 하루 확진자는 1.7배 증가한 8만 명대를 발생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난 3주에 비해서는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상황이기는 합니다. 정부는 확진자 급증에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21&key=20220221141811062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