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 9일 대선과 함께 치러지는 대구 중·남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국민의힘이 후보를 내지 않기로 하면서 출마자들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전통적인 ‘보수 텃밭’으로 꼽히는 대구 중·남구는 본선보다 국민의힘 공천이 결정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민의힘 ‘무공천’ 결정은 여파가 크다.
국민의힘이 무공천 결정을 내리기 전부터 대구 중·구 지역은 12명이 예비후보자로 공식 등록할 정도로 기싸움이 치열했다. 다른 재보궐선거 지역의 예비후보자 등록이 같은 시기 3~6명 정도였던 데 비하면 상당히 뜨거운 분위기다.
곽상도 전 국회의원의 지역구였던 이곳은 곽 전 의원이 지난해 11월 제명되면서 무주공산(無主空山)이 됐다. 곽 전 의원의 아들이 화천대유자산관리에서 퇴직금 명목으로 50억 원을 받은 사실이 알려지며 불거진 논란이 곽 전 의원 제명으로 이어졌다. 국민의힘 입장에선 이른바 ‘사고 지역구’가 되는 계기를 만든 셈이다.
국민의힘 예비후보자들은 이제 자신의 입장을 정리해야 한다. 국민의힘 공관위의 무공천 방침에 따라 국민의힘 후보들은 출마를 하려면 반드시 탈당을 하고 ‘무소속’ 출마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국민의힘 예비후보자들은 당의 무공천 결정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자신의 입장을 속속 정하고 있다.
국민의힘 예비후보로 등록한 이인선(62) 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은 28일 중앙일보와의 통화해서 “워낙 갑작스러운 소식이어서 아직 사태 파악이 안 됐다”며 “당 지역위원회 관계자들과 논의를 해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이 전 청장은 자신의 소...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4955?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