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5시19분 제주도 서남서쪽 41㎞ 해역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했다. 국내 역대 지진 중 11번째 규모로, 올해 한반도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약 두 시간 만인 오후 7시30분 기준 아홉 차례의 여진이 발생했다. 여진 규모는 1.6에서 1.7 정도로 집계됐다. 유상진 기상청 지진화산정책과장은 “규모 4.9 정도의 지진이 발생한 후에는 상당히 긴 기간 동안 여진히 발생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사례를 보면 수개월에서 1년까지도 여진이 가능하다”면서 “여진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지진 진앙과 가장 가까운 곳은 제주도 서남쪽 모슬포항 인근이다. 모슬포항에 사는 김명원(88)씨는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지진으로 흔들림을 느꼈을 뿐만 아니라 폭발 소리가 날 정도였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김씨는 “트럭이 와서 집을 받는 느낌이 나서 집이 완전히 망가지는 줄 알고 맨발로 뛰쳐나갔다”고 말했다.
여행객인 윤모(45)씨는 이날 입도해 오후 5시쯤 서귀포시 제주 신라호텔에 도착했다. 윤씨는 “체크인하려는데 영화의 한 장면처럼 사람들이 우르르 뛰쳐나갔다”며 “1층에 있었는데도 울렁거리고 어지러울 정도로 땅이 흔들리는 느낌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호텔 밖에는 옷도 제대로 입지 못하고 대피한 이들이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고 윤씨는 전했다. 제주도교육청과 제주관광공사 직원들도 이날 건물이 흔들리자 부랴부랴 밖으로 몸을 피했다.
이날 제주 지역 주민 상당수가 진동을 감지했지만 직접적인 피해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도 서귀포경찰서 안덕파출소 관계자는 “건물이 조금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2330?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