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세대들은 저성장 사회에 살면서 아무래도 기회가 부족해서 경쟁이 격렬하고 도전보다는 정말 절망과 위기를 더 많이 느끼는 시대를 살고 있다. 우리는 정말 그들이 느끼는 고통에 대해 공감하고 들어주려는 노력이라도 절실히 했는지에 대해서 저 자신이 사실은 최근에 깊이 반성되고 아팠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11월 15일 최고위원회의
이재명 후보가 연일 청년들을 위한 메시지를 내놓고 있습니다. 청년 기본소득부터 가상자산 과세 유예까지 2030대가 좋아할만한 공약들을 연이어 발표했죠. 심지어 청년들의 면접까지 챙겨주는 세심함도 보입니다. 당 청년본부에는 적극적인 정책 발굴을 주문했고, 그렇게 나온 것이 20대 비과셉니다. 연간 소득이 5000만원 이하인 20대에겐 소득세를 면제해주는 거죠.
하지만 민주당 선대위는 공식적으로 논의되거나 검토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정식 공약이 아니라는 이야깁니다. 이밖에도 이재명 후보는 매타버스를 타고 청년들과 소통하며 보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물론 소통 자체는 높이 평가할 만합니다. 하지만 명확한 메시지에 치중하다보니 모순적인 상황도 발생합니다. 그 때문에 발언의 진정성까지 의심받죠.
"광기의 페미님을 멈춰야"
특히 이재명 후보가 얼마전 공유한 2편의 인터넷 커뮤니티 글이 논란 됐습니다. ‘광기의 페미니즘을 멈춰주셔야 한다’ 등 거친 표현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선대위에 공유한 글도 '문재인 정부에 대한 실망'이 과도한 친여성 정책에서 시작됐단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당 안팎에서 비판 여론이 커지자 이재명 후보는 이렇게 해명했습니다. “‘청년의 목소리를 들어주는 정치인이 한 명도 없는 거 같다’는 절규를 전하고 싶었다”고 말이죠. 그는 이재명 정부라는 표현을 쓸 만큼, 문재인 정권과 차별화를 시도합니다. 청년 정책을 강조하면서 부족했던 점을 꼬집습니다.
&n...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25374?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