꺾이지 않는 확산세 속에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는 경증 환자들이 많은데요.
그런데 일부 생활치료센터에서 이전 입소자가 쓰던 물건이 그대로 남아있거나 곰팡이가 피어 있는 등 위생이 엉망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김다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세 아이를 키우는 김 모 씨는 11살짜리 아들이 최근 확진 판정을 받아 지난달 중순 인천의 생활치료센터로 옮겨졌습니다.
그런데 들어가 보니 청소를 안 했나 싶을 정도로 위생이 엉망이었습니다.
바닥엔 머리카락과 음식 부스러기가 잔뜩, 에어컨에는 곰팡이가 피어있었고 화장실에는 이전 입소자가 쓰던 목욕제품이 남아 있었습니다.
[김 모 씨 / 생활치료센터 입소자 : 청소했는데 깜빡한 것 같다고 치워달라고 하더라고요. 화장실 보니까 변기 뚜껑을 열었는데 오물이 있고 너무 더러운 거예요. 머리카락도 너무 많고….]
이에 대해 병원 측은 보통 입소자 100명 안팎을 돌보는데 의사와 간호사 9명, 직원 20여 명이 투입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지자체 요청으로 최근 갑작스레 생활치료센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준비가 미흡했던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생활치료센터 관계자 : 7월 말에 에어컨 청소 다 됐고요. 방이 지저분하다든지 먼지가 있었다는 건 있을 수 없는 거고요. 다른 데는 주로 호텔, 연수원 이런 곳이기 때문에 아마 더 (비교된 것 같습니다.)]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확진자가 격리되는 전국 생활치료센터는 80여 곳.
갈수록 병상은 빠르게 차고 있지만 관리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불만도 여전합니다.
[유병욱 / 순천향대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많은 확진자가 나오면서 생활치료센터 등이 확충되고 시설의 미비가 걱정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재감염 위험성 등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환자 관리가 부실한 생활치료센터에서는 최근 사망자가 잇달아 나오기도 했습니다.
관리 인력 정비와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경증환자를 대상으로 자가 치료를 점점 확대해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YTN 김다연입니다.
YTN 김다연 ([email protected])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온라인 제보] www.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0906050841077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