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수도권에서는 오늘부터 거리두기 4단계의 시행으로 자영업자 등의 영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 때문에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손질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국민지원금과 카드 캐시백 등 소비 진작 사업을 조금 줄이는 대신,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등의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길기범 기자입니다.
【 기자 】
정부가 준비 중인 33조 원 규모의 2차 추경안.
이 중 소상공인 피해 지원 금액은 3조 9천억 원인 반면, 재난지원금 10조 7천억 원과 신용카드 캐시백인 상생소비지원금 1조 1천억 원은 소비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4차 대유행이 현실화되면서 추경안 재설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거리두기 4단계 격상에 따라 소비 진작 예산을 줄이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피해계층 지원과 방역 예산을 늘려야 한다는 겁니다.
정치권에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