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5일)이면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 100일이 됩니다.
그동안 부작용 논란에다 공급 부족 등으로 접종이 중단되는 등 우여곡절이 적지 않았는데, 최근 접종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면서 일상으로의 복귀를 꿈꾸는 기대감도 커졌습니다.
박기완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첫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난 2월 26일.
그로부터 어느덧 100일이 흘렀습니다.
[이경순 / 국내 첫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 (접종 전에는) 불안했죠. 어디를 나가거나 사람을 부딪치는 것도 그렇고…. (이제는) 불안함도 없고 어르신들도 대부분 1차까지는 다 맞으셨기 때문에 그런 면에서 마음이 좀 편안하죠.]
백신 접종은 순탄하지만은 않았습니다.
백신을 맞은 요양병원 환자가 심장 발작 등으로 숨진 사례가 나오고,
일주일 만에 20대 접종자의 혈전 부작용 증세도 나타나는 등 부작용 사례가 잇따른 겁니다.
정부는 백신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발표했지만,
한 달여 만에 입장을 바꿔 30살 미만은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대상에서 제외하기도 했습니다.
[백순영 /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지난 4월 11일) : 환자가 (부작용) 의심사례가 나왔을 때 얼마나 신속하고 명확하게 이것을 잘 밝혀줄 수 있느냐 하는 이런 부분들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보고요.]
여기에 이물질 주사기 논란까지 더해져 접종 동의율은 뚝 떨어졌습니다.
지난 4월 말 화이자 2차 접종을 앞두고는 백신 물량이 바닥을 드러내 신규 접종이 미뤄지면서 수급 불안도 고개를 들었습니다.
[황호평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시행1팀장(지난 4월 30일) : (5월 초에는) 2차 접종이 집중적으로 몰릴 수 있기 때문에 새롭게 1차 접종을 추가해서 진행하는 부분은 저희가 자제 요청을….]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한 건 백신 물량이 다시 확보된 뒤 지난달 27일, 65살 이상 접종이 시작되면서부터입니다.
잔여 백신 예약도 함께 진행됐는데, 접종 대상이 아니더라도 백신을 맞을 수 있다는 소식에 젊은 층이 너도나도 몰려들었고, 덩달아 고령층의 예약도 늘면서 일주일 만에 접종률이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김형준 (34) / 인천 송도동(지난달 28일) : 신청하려고 해 보니까 주변 백신 남아있는 잔량들이 전부다 0이고…. 주변에서도 많이 맞으려고 이래저래 방법을 알아서 많이 신청하는 것 같습니다.]
여기에 30대 예...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0604193026571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