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건 주민 동의…공공재개발 성공하려면?
[앵커]
정부의 주택 공급 방안 중 하나인 서울 공공재개발 후보지 16곳이 발표됐습니다.
사업의 원활한 진행은 주민들의 참여와 동의가 있어야 가능한데요.
이를 위해 필요한 점은 무엇인지, 사업 성패를 가를 관건은 무엇인지 나경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길은 좁고, 기와를 얹은 집까지 밀집해 있습니다.
공공재개발 후보지가 된 서울 성북구 장위8구역입니다.
계획대로 개발이 진행되면 이곳엔 지금까지 발표된 공공재개발 후보지 가운데 가장 많은 주택이 들어섭니다.
정부는 공공재개발을 통해 이곳에 2,300여 가구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기존 가구수가 1,200가구 정도 되니까 1,100가구가 추가 공급되는 겁니다.
이렇게 사업이 진행되기 위해선 먼저 주민들의 분담금을 줄이는 등 사업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그래야 주민 동의라는 공공재개발의 전제 조건을 만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공과 협의를 해서 주민들한테 도움이 될 수 있고 사업성에 주민들이 만족해야만 속도를 낼 수 있지 않겠나…"
공공재개발 사업엔 LH 등이 참여합니다.
LH에 대한 불신으로 주민들 사이에서 부정적 목소리가 나올 수 있지만, 사업이 10년 넘게 정체돼 있던 대부분의 후보지들은 사업을 엎기보단 주민들의 뜻을 모으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LH는 이런 불신을 씻어낼 만한 시범 사례를 만들어 내야 합니다.
"성공 케이스가 나온다면 공공재개발에 탄력이 붙지 않을까…"
재개발 후보지의 세입자들을 위한 대책도 마련돼야 합니다.
"못 들어가는 사람이 더 많지 들어가는 사람보다. 갈 곳이 없잖아."
주택 공급 확대라는 대의 앞에 피해를 보는 사람이 있어선 안 되기 때문입니다.
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