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이세나 앵커, 정지웅 앵커
■ 출연 : 김진두 / 문화생활과학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태풍과 비바람 전망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문화생활과학부 김진두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앞서 저희 취재기자들이 쭉 전해 준 현장 상황 보니까 태풍 마이삭의 위력이 정말 만만치 않은 것 같은데요. 지금으로부터 2시간 전쯤에 내륙에 상륙했죠?
[기자]
그렇습니다. 2시 20분쯤에 부산에 상륙했습니다. 매 시간 54km 정도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지금 내륙을 지나가고 있는데요.
태풍의 현재 위치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중계화면입니다. 부산과 울산 지역을 경남 한쪽으로 묶고요. 그다음 우리가 영덕과 포항을 한쪽으로 묶었을 때 이쪽은 경북입니다.
경남과 경북을 비교했을 때 더 강한 지역이 태풍이 지나가고 있는 지역입니다.
그러니까 화면상으로 봤을 때는 좀 더 강한 지역이 영덕과 포항이었습니다. 현재 태풍은 경남을 벗어나서 경북 지역을 지나가고 있습니다.
매 시간 54km, 매우 빠른 속도로 북진하고 있고요. 그러니까 동해안을 따라서 쭉 올라간 뒤에 강원도 지역 정도에서 동해로 진출할 것으로 그렇게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중심기압이 960헥토파스칼, 중심 부근에는 여전히 초속 39m의 강한 바람을 동반하고 있는 강한 태풍의 위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오늘 아침까지 내륙을 통과하는 사이에 굉장히 많은 피해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번에 태풍이 제주도를 지나면서 아주 강한 비바람이 몰아쳤다고 하는데요. 어느 정도 수준이었습니까?
[기자]
기상캐스터가 출연하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마는 제주 산간 지역에는 가장 많은 비가 내린 지역이 1000mm가 넘었습니다.
그외의 산간지역에도 900mm가 넘는 곳이 속출했습니다. 내륙지방만 해도 300mm 정도의 비가 내린 상황이었고요. 가장 강한 바람이 기록된 것은 제주도 고산지역. 초속 49.2m의 폭풍이 관측됐습니다.
시속으로 따지면 177km의 폭풍입니다. 이번 태풍이 지난번 바비보다 훨씬 강한 위력으로 제주도를 강타해서 굉장히 많은 피해가 났고.
특히 강한 바람이 대조기인 시기에 밀물과 겹치면서 제주도 해안가 지역으로는 해일 피해까지 속출했습니다...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00903043857919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