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의 ’연기’ 언급 뒤 이틀 만에 전격 결정
경기장 40여 곳·자원봉사자 11만 명 운용 방안 고심
시설 재계약·조직위 인건비·홍보비 등 추가 비용 필요
선수촌 아파트 약 900세대 입주 지연 시 보상 문제 대두
올림픽 125년 역사상 첫 연기 결정이 나온 뒤 일본은 취소가 아니어서 그나마 다행이라는 분위깁니다.
하지만 1년이라는 기간 동안 추가로 들어갈 비용과 인력 문제 등 풀어야 할 숙제가 첩첩산중입니다.
도쿄에서 이경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여름의 희망이 사라졌다"
도쿄 올림픽 연기 기사에 마이니치신문이 붙인 제목입니다.
아베 총리가 연기를 처음 언급한 뒤 불과 이틀 만에 나온 결정에 일본에는 한숨과 안도가 교차하고 있습니다.
[와다 / 도쿄 시민 : 1년 연기하게 되면 아무래도 김이 빠진달까, 기분이 가라앉아 버리기 때문에요.]
[스즈키 / 도쿄 시민 : 지금처럼 위중한 시기에 올림픽을 꼭 열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지금부터입니다.
각 지자체에서는 올림픽 전까지 40여 곳에 이르는 경기장과 11만 명에 이르는 자원봉사자를 어떻게 운용해야 할 지 고심하고 있습니다.
[다카다 아키라 / 이치노미야 올림픽 추진과 담당자 : 이미 자원봉사자들에게 채용통지까지 한 상태이기 때문에 앞으로 다시 연락해서 1년 뒤에도 할 수 있는지 의향을 물어봐야 하고요.]
이와 함께 각종 임대 시설을 다시 확보하는데 드는 비용, 그리고 조직위 인건비와 홍보비 등 추가로 들어갈 돈이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
선수촌 아파트 5,600가구 중 이미 계약이 끝난 약 900세대의 입주가 미뤄질 경우 보상 문제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올림픽을 1년 연기할 때 필요한 추가 비용에 대해 3조 3천억 원에서 7조 3천억 원까지 다양한 추산치가 나오는 상황.
하지만 이 막대한 비용을 누가 부담해야 하는지 대한 기준은 아직 없는 상태입니다.
IOC와 일본 정부, 도쿄도 어느 쪽도 이 문제를 먼저 언급하지 않은 채 협의하겠다는 말만 내놓고 있습니다.
[코이케 유리코 / 도쿄도지사 : 연기 결정 후 하룻밤 지났는데 안심되는 부분도 있지만 이제부터 큰일이란 생각이 듭니다. 문제가 산적해 있지만 취소 보다 낫다고 봅니다.]
올림픽까지 남은 날짜를 알리던 시계는 지금 이 시각을 전하는 보통의 시계로 바뀌었습니다.
올림픽의 시계가 멈춘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00325191049779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