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가 개장과 함께 또다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는 등 폭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와 유동성 공급 등 파격적인 조치에 나섰지만 코로나19 확산의 충격을 진정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파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태욱 특파원!
이달 들어 뉴욕증시가 세 번째나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될 정도로 폭락세를 이어가고 있죠?
[기자]
뉴욕증시는 현지 시각 16일 오전 9시 30분 개장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거래가 중단되는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주가 급등락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15분간 매매를 중단하는 제도로, S&P500 지수 기준으로 7% 이상 급락하면 발효되는데요.
S&P500 지수는 8%대 폭락세로 개장했습니다.
이로써 220.55포인트, 8.14% 하락한 2,490.47에 거래가 중단됐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도 9.71% 하락한 20,933.1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6.12% 하락한 7,392.73에 각각 장을 세웠습니다.
이달 들어 뉴욕증시의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은 지난 9일과 12일에 이어 2거래일만입니다.
미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개입이 코로나19 공포감을 진정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시장 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거래가 재개된 뉴욕증시는 다시 낙폭을 확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오전 10시 반 현재 다우존스 지수가 9.84%, 나스닥 지수가 9.32%, S&P500 지수가 9.45% 떨어진 채 거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앞서 미국 연준은 일요일인 15일 예정에 없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표결을 거쳐 기준금리를 기존 1.00%∼1.25%에서 0%∼0.25%로 무려 1%포인트나 내렸습니다.
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QE) 정책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성명을 통해 달러의 유동성을 강화하기 위해 연준과 ECB, 영란은행, 일본은행, 캐나다중앙은행, 스위스 중앙은행이 스와프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유럽증시도 코로나19 공포를 벗어나지 못하고 6∼8%가량 급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100 지수는 전거래일에 비해 6%가량,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 지수는 9% 안팎, 독일 DAX30 지수 역시 7% 넘게 떨어져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YTN 강태욱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00317000459598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