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1 학생들, 대입 전략 수정 불가피
"내신 3∼4등급, 수능 중심 교과형 학습 전환"
"2, 3학년 내신 좋으면 학종 서류 등에서 평가"
정부가 발표한 대입 정시 확대 정책은 현재 고1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전망이어서 입시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수능 대비와 내신 성적 관리를 철저히 하되, 내신이 좋지 않은 학생들은 수능 중심의 교과형 학습 전환이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권오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교육부는 서울 주요 대학 16곳의 정시 비중을 2023학년도까지 40%로 올리되, 대학 여건에 따라 1년 앞당긴다는 방침입니다.
2022학년도부터 시행되면 현재 고1부터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을 준비해왔던 학생을 비롯해 많은 학생들의 대입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입시 전문가들은 학생부 교과인 내신 성적의 철저한 관리를 전제로, 수능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치우 / 비상교육 입시평가실장 : 학생부와 수능의 학습 비중을 현 고1 때는 8대2 정도, 고2가 되면 5대5 정도, 고3이 되면 2대 8 정도로 수능에 대한 학습 비중을 늘려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내신 성적 3, 4등급은 논술이나 학생부 비교과 등 다른 영역을 준비하기보다 수능 중심의 교과형 학습으로 빨리 전환하는 게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1학년 내신성적이 좋지 않은 경우 2, 3학년 때 잘하면 대학의 학종 서류 등 심사에서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임성호 /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 : 고교 1학년 때 학교 내신성적이 나빴다 하더라도 2, 3학년으로 갈수록 상승되는 쪽으로 종결된다면 아무래도 학종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높죠.]
또 대학별 고사에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지 말고, 학교 수행평가의 과제와 토론·발표 수업 등을 통해 논술과 면접을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자기소개서 등 학종 비교과 부분은 바뀌는 게 없어 이에 대한 대비를 소홀히 하면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유성룡 / 커넥츠 스카이에듀 진학연구소장 : 여전히 학종이라는 제도가 있는데 단지 학생 선발 비중이 얼마냐 되느냐가 관건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내신 따로 비교과, 수능 따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하지만 현 고1 학생들은 내년 4월 말 2022학년도 대학별 입학전형 시행 계획이 나와야 구체적인 입...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191129190442695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