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이승민 앵커, 박석원 앵커
■ 출연 : 김우준 / 사회부 사건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내용을 취재한 김우준 기자가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먼저 목동 빗물 배수시설 사고 언제 일어났던 사고이고 어떤 사고였는지 정리를 한번 해보죠.
[기자]
사고는 지난달 31일 목동 빗물 배수 시설에서 발생했습니다. 배수 시설은 지하 40m에 위치해 있고 쉽게 말해서 큰 터널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 10m에 길이는 3.6km 정도 되는 대형 큰 터널인데요. 양천구는 상습 침수구역이라 빗물을 가두기 위해서 우리나라 최초로 설치가 된 시설입니다. 공사는 얼추 마무리가 됐었고 시범 운행 가운데 사고가 발생한 겁니다. 작업자 3명이 대형 터널 안에 있었는데 빗물을 가두어둔 수문이 열렸고 6만 톤의 물이 그대로 작업자들을 향해 덮친 겁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수문이 자동으로 열렸다는 겁니다. 하수관에 일정 기준 이상 빗물이 차게 되면 그 하수관과 터널을 연결하는 수문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데요. 열린 수문은 수문 제어실에서 바로 통제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사고 당시 수문 제어실에는 관계자들이 전혀 없었던 거고 결국 수문은 닫지 못하고 빗물은 그대로 작업자들을 향해 덮친 겁니다.
수문이 자동으로 열리는 것이기 때문에 통제할 수 있는, 제어할 수 있는 어떤 제어실에 사람이 상주해 있어야 될 것 같은데 원래 제어실의 통제권은 누구한테 있는 겁니까?
[기자]
일단은 그걸 말씀드리기 전에 이 시설을 둘러싼 관계기관에 대해서 설명을 먼저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관계기관이 3개가 크게 관여가 되어 있는데요. 먼저 처음에는 발주처인 서울시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걸 시공을 담당했던 현대건설이 있고 그리고 운영을 담당하게 될 양천구청이 있습니다. 사고 당시 해당 시설은 완전히 가동을 시작한 건 아니고 어디까지나 시범 운행이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한국에 최초로 들어온 시설인 만큼 7월 1일부터 3개월간 시운전 기간이었는데요. 시범 운행 중에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사고 당시 진행한 언론 브리핑에서는 서로가 책임을 떠미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시공사인 현대건설 측과 임시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양천구청은 정말...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190807165629631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