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필수 /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아직 확정이 된 건 않습니다만 특정 차종에 사고가 집중된다라는 게 좀 꺼림칙합니다. 그러면 전문가 잠시 연결해서 이 사고 왜 잇따르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김필수 교수 연결돼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세요.
이 BMW 화재 최근만 문제가 된 게 아니죠. 전에도 이런 이슈가 있었죠?
[인터뷰]
그렇습니다. 이전에도 이유사한 화재 사고가 많이 발생을 했었는데 어떤 정확한 원인이라든지 이런 것들은 발표가 되지 않았었고요. 그래서 정부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실태조사에 들어가지 않았는데 최근에 발생한 것은 520디젤 모델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 특히 며칠 사이에 여러 건이 발생하고 있다라는 건 실질적인 자동차의 결함일 가능성은 분명히 높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아직 정확하게 520d가 정확하게 몇 대인지 최근에 한 8개월 사이 20건이 넘는데 그중에 몇 대인지는 아직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죠?
[인터뷰]
네. 대략 과반, 절단 정도 해당된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로서는 거의 과반수이니까 상당히 많다고 볼 수가 있고 특히 4~5월 사이에 여러 건이 지금 발생을 하고 있거든요.
특히 이런 부분들은 상당히 고민거리를 많이 제공한다라고 볼 수 있는데 지금 보니까 이디알이라고 배기가스 장치가 있습니다. 배기가스를 일부 흡기로 다시 끓어들여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장치라고 볼 수 있는데 일선에서도 얘기 나오는 것 중에 하나가 이 배기가스 재선 장치가 냉각수 부분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부분들은 일선에서 정비하시는 분들도 여러 가지 목소리, 같은 목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었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냉각수가 흐르지 못한다라는 것은 엔진 쪽의 일부분이 과열이 되기 때문에 이 과열로 인해서 주변에 있는 가연성 물질에 불이 붙게 되면 바로 화재로 이어지게 되는 거거든요.
그런 측면에서 특히 전소가 안 된 차량에 어떤 부품을 보게 되면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떨어져 나가거든요, 녹으면서. 그렇다면 지금 실태조사 들어가고 있지만 배기가스 재순한장치 쪽에 문제가 생겨서 일종의 자동차 부품 결함이라고 볼 수 있죠. 이 부분으로 인해서 화재가 연속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측면에서 더더욱 걱정인 것...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80723082803373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