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찰이 과거 군사정권 시절 인권유린이 자행됐던 옛 남영동 대공분실을 주말에도 일반에게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인권 친화적 경찰이 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는 하지만, 고 백남기 농민 사망 사건이 해결되지 않는 한 보여주기식 행사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양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0년 전 벌어졌던 참혹한 고문의 현장.
덩그러니 놓인 고 박종철 군의 영정 사진이 그날의 고통을 대신 전합니다.
[안태경 / 동국대학교 4학년 : 옛날 일이지만 여전히 무겁더라고요. 풍겨오는 느낌이라는 게. 오늘날 비교했을 때 상상도 안 되는 일 같고요.]
엄혹한 시절, 민주주의를 짓밟았던 역사의 현장이 주중을 넘어 주말에도 일반인에게 공개됩니다.
정권이 바뀐 뒤 인권을 중요시하는 사회 분위기를 경찰이 받아들인 결과입니다.
집회 현장에 나서는 경찰의 대응 방식도 한층 부드러워졌습니다.
사상 처음 미국 대사관이 인간 띠로 포위됐지만, 경찰은 차 벽으로 막는 대신 교통질서를 유지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하지만 고 백남기 농민을 향해 물대포를 쏜 살수차가 규정된 수압을 넘을 수 있는 상태인 데다, 사고 당시 투입된 경찰관 한 명이 야간 살수차 운용은 처음이었다는 청문 감사 보고서가 뒤늦게 공개되면서 논란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앞서 이철성 경찰청장이 이례적으로 고 백남기 농민과 유가족에게 공식 사과하고 직접 만나겠단 뜻을 밝혔지만, 유가족은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이 우선이라고 맞서면서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결국, 고 백남기 농민 사망 사건의 매듭이 풀리지 않는 한, 인권 경찰로 거듭나려는 경찰의 최근 행보가, 숙원 과제인 수사권 조정을 위한 보여주기 식이 아니냐는 일각의 비판 역시 해소되지 않을 전망입니다.
YTN 양일혁[[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70702052735913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